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87

갤럭시 S24 공시지원금 통신사별 비교 갤럭시 S24 공시지원금 통신사별 비교 정부는 단통법이 시행되고 10년 만에 폐지를 단행했습니다. 단통법 폐지 일자는 아직 확실치는 않으나, 정부에서 단통법 폐지 이전이라도 단말기 가격 인하 방안을 강구하라는 지시를 했습니다. 오늘은 갤럭시 S24 공시지원금 통신사별 비교 포스팅입니다. 아래는 최신 업데이트 기준 각 통신사별 공시지원금 지원 금액 현황입니다. 공시지원금은 요금제 금액에 따라 상이합니다. SKT 갤럭시 S24 공시지원금 구분 갤럭시 S24/ 갤럭시 S24 플러스/ 갤럭시 S24 울트라 할인 합계 공시지원금 추가 지원금 월 125,000원 요금제 (5GX 플래티넘) 600,000원 90,000원 690,000원 월 99,000원 요금제 (5GX 프라임플러스, 0 청년 99 등) 500,000..
갤럭시 S24 온디바이스 AI 기능 분류 및 특징 갤럭시 S24 온디바이스 AI 기능 분류 및 특징 갤럭시 S24에 탑재된 생성형 AI(가우스)의 가장 혁신적인 점은 온디바이스 방식이라는 것입니다. 생성형 AI 기술에 있어 온디바이스 방식은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철저하게 관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갤럭시 S24 AI 기능 중 온디바이스 기능 분류 및 특징 포스팅입니다. 생성형 AI가 개인정보 문제에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AI가 수집한 데이터는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다수 및 대량의 개인정보가 불안전하게 저장 및 보호된 클라우드 서버가 해킹 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온디바이스 기능은 생성형 AI가 수집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를 거치지 않고 기기 내 저장된 정보만으로 처리하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 해킹으로..
갤럭시 S24 모델별 스펙 및 생성형 AI 기능 갤럭시 S24 모델별 스펙 및 생성형 AI 기능 갤럭시 S24 시리즈가 정식 출시되었습니다. 출시 전부터 생성형 AI(가우스)가 탑재된다는 소식으로 많은 기대를 안고 있었습니다. 오늘은 갤럭시 S24 스펙 비교와 함께 AI 기능 확인 포스팅입니다. 1. 출고가 S24 일반형과 플러스 256GB는 전작 S23과 동일가로 출시되었으며, 512GB는 S24 일반형과 플러스 모두 S23 전작 대비 22,000원 소폭 상승한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S24 울트라는 256GB, 512GB, 1TB 모두 대략 10만원 정도 상승되었습니다. S24 울트라 1TB 모델이 갤럭시 스마트폰 가격 처음으로 2백만원이 넘는 가격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갤럭시 S24 최저가 바로가기 갤럭시 S24 최저가 바로가기 2. 디자인 ■ ..
중대재해처벌법 소규모 사업장 적용 시기 유예 불발 소규모 사업장(5 ~ 49명)은 24년 1월 27일부로 중대재해처벌법이 적용 시행됩니다. 소규모 사업장 규모를 고려하여 국회에서 중처법 적용을 2년 추가 유예하는 내용의 개정안을 강력히 요구했지만, 여야 합의 실패로 불발되었습니다. 1. 중대재해처벌법 22년 1월 27일부로 시행된 중대재해처벌법은 처벌 대상이 사업장의 사업주(공장장, 현장 소장 등)인 산업안전보건법과 달리 대표이사 등의 경영책임자이기 때문에 시행 당시부터 많은 이슈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법은 시행됐고, 기업들은 기존 산업안전보건법에 비해 엄청난 시간적, 자원적 등의 투자를 아낌없이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CSO(안전보건담당임원 or 최고안전책임자) 직책을 신설하기도 했습니다. 2. 중대재해처벌법 처벌 대상 중대재해처벌법의 처벌 대상은 경..
KTX 할인 싸게 구매하는 방법(13% 할인) MOVV 이용 방법 KTX 할인 싸게 구매하는 방법(13% 할인) MOVV 이용 방법 장거리 이동은 주로 KTX를 이용하곤 하는데, 왕복 교통 비용이 10만원이 넘다 보니 여러 할인 및 이벤트가 뭐가 있을지 찾아보곤 합니다. 오늘은 할인 13%까지 가능한 KTX 할인 싸게 구매하는 방법 MOVV(무브) 이용 방법 포스팅입니다. MOVV(무브)란? 무브는 전용쇼퍼가 운행하는 전용차량으로 고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프라이빗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빌리티 플랫폼입니다. 오늘은 KTX 할인에 대한 안내만 드리지만, 이외에도 자택에서 공항까지, 자택에서 병원까지, 자택에서 골프장까지 등의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입니다. 시간 나실 때 이용하셔서 좋은 혜택 누리시길 바랍니다. ※ 쇼퍼(Chauffeur) 리무진 등의 고급 차량..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 시 이행해야 할 사항 총정리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 시 이행해야 할 사항 총정리 매년 새로운 유해물질이 추가되고 이에 따라 법규는 개정됩니다. 고용노동부나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는 관리대상 유해물질의 범위를 확대하여 미량이라도 기준치 이상의 유해·위험성이 있을 시에는 관리대상 유해물질로 분류하여 철저하게 관리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관리대상 유해물질만큼 직접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많은 관련 법 조항을 보유하고 있는 건 드뭅니다. 그만큼 취급 시 주의하여야 합니다. 오늘은 관리대상 유해물질 취급 시 이행해야 할 사항에 대한 총정리 포스팅입니다. 관리대상 유해물질이란? 관리대상 유해물질은 근로자에게 상당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사용 시 보건상의 조치가 필요한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소량이라도 장기간 흡입하는 경우 암 등 중대한 직업병..
작업계획서 작성 주체, 작업, 양식 작업계획서 작성 주체, 작업, 양식 건설업 산업현장에서 중장비로 인한 사고는 매년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대비하기 위해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작업계획서를 작성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작업계획서 작성 주체와 함께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 작업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작업계획서란? 작업계획서는 사고 위험이 높은 기계 장비를 사용하는 등의 고위험 작업을 할 때 작업 방법과 유해위험요인 감소 및 제거 대책을 사전에 계획하고 계획한 대로 이행하기 위한 계획서입니다. 작업계획서 작성을 위한 사전조사(준비), 유해위험요인 파악, 감소 및 제거 대책 수립 등의 과정들은 하나의 "위험성평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작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하는 작업에 대해서 사고가 났을 때 작업계획서를 제일 먼저..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시 개정 내용(시행 '24.01.01 ~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시가 일부 개정되었습니다. 기존보다 사용 품목이 확대되었습니다. 오늘은 개정 이유와 그 주요 내용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시 개정이유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및 중대재해 감축 로드맵에 따라 건설 현장에서 '자기규율 예방체계'를 구축·이행하는 과정에서 중대재해 예방에 효과적인 품목을 현장 여건에 맞게 갖추도록 지원하고, 현행 고시에서 사용 중인 '공사종류'가 건설 관계 법령과 상이하여 불편하다는 건설업계 의견을 수렴하여 「건설산업기본법」을 기초로 하여 분류 방식 전면 개편의 필요성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고시 개정 주요내용 중대재해처벌법 시행과 함께 산업 현장에선 산재예방 활동의 수준이 향상되고 신기술 도입과 기상이변..
특별관리물질(44종) 종류 및 취급 시 조치사항 특별관리물질(44종) 종류 및 취급 시 조치사항 2022.10.18일 부로 관리대상 유해물질(특별관리물질)이 개정되었습니다. 특별관리물질은 기존 37종에서 44종으로 변경되었으니 오늘 포스팅 참고하시어 업무에 혼선 없으시길 바랍니다. 관리대상 유해물질은 다음 포스팅에서 다루겠습니다. 관련 법규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439조 ~ 제440조 ※ 법령 개정 내용 2022.10.18일 부로 관리대상 유해물질(특별관리물질) 8종(특별관리물질 7종)이 추가되었습니다. 법령개정 공포일은 2022.10.18일이지만, 해당 개정 내용 시행일은 2023.10.18일입니다. 시행일 이후로 사업장 내 관련 내용이 반영되어 있지 않으면 그에 따른 제재가 있을 수 있습니다. 특별관리물질이란? 발암성 물질, 생식세포 변이..
관리대상 유해물질, 특별관리물질 비교 및 관계도 관리대상 유해물질, 특별관리물질 비교 및 관계도 사업장 내에서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을 사용 시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른 안전보건 조치를 취하여야 하며, 이 법에서는 유해성의 정도에 따라 관리대상 유해물질과 특별관리물질로 나뉘어 더 높은 수준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관리대상 유해물질과 특별관리물질의 관계에 따른 포스팅입니다. 관리대상 유해물질 근로자에게 상당한 건강장해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법 제39조에 따라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보건상의 조치가 필요한 물질로서 유기화합물, 금속류, 산·알칼리류, 가스상태 물질류를 말합니다. ◈ 조치사항 국소배기장치 설치 등 「안전보건규칙」 제422조 ~ 제451조 준수 [단, 제439조와 440조는 제외(특별관리물질 사항)] 특별관리물질 발암성 물..
반응형